■ 선택사항
· Air Chamber의 형과 보온재의 재질, 두께, 부착방법
· 기구 중 취출이 필요치 않는 부분에 사용되는 덮개판 (Blank-off-Baffle)
· 기구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연결대 (Alignment Bar)
·가로 방향의 기구와 세로 방향의 기구를 연결 처리하기 위한 직각연귀이음부 (90º mitered corner)
· 각종 페인트 색상
■ 모델선정
■ 기류 조절 방법
1슬럿 경우
■ DBL-1(1 SLOT)
■ DBL-2(2 SLOT)
■ DBL-3(3 SLOT)
■ DBL-4(4 SLOT)
■BREEZE LINE DIFFUSERS PERFORMANCE DATA
· CMH : 풍량( Cublc Meter Per Hour)
· SP : 정압손실 mmAq
· RAD : 취출 기류의 종풍속(終風速, Terminal velocity)이 0.5m/s가 되는 기류의 수평거리도달 거리 반경,
종풍속이 0.5m/s 일때 실내풍속은 0.25m/s가 된다.
· PROJ : 취출 기류의 종풍속(終風速, Terminal velocity)이 0.5m/s가 되는 기류의 수평거리도달 거리,
종풍속이 0.5m/s 일때 실내풍속은 0.25m/s가 된다.
· RAD : Noise Criteria로 실내 조건의 소음이 8dB가 감소되는 것을 기준으로 삼았다.
■천정면에 인한 공기 취출 특성
■수직 상승 취출 공기 특성
(주) 1. 도달거리는 TV+TH로 표시하고 본 Data는 TV=1.8M
2. TV 이외의 Data는 수직취출과 동일
3. 타의 취출구에서의 취출기류의 초소확산이 TH에 겹쳐지면 Draft를 느낌
(주) 1. 상승취출 각도를 0º ~ 10º로 변해도 도달거리는 변하지 않으며 수직취출 값에 1.54를 곱하면 수평취출위 도달거리가 된다.
2. 도달거리 이외의 Data는 수직취출과 동일합니다.
· 본 Data는 BLS형, BLD형 공히 길이 1,000mm를 기준으로 해서 측정한 것
· 도달거리는 잔풍속 0.25m/s의 위치와 취출구와의 거리
· 기류의 확산은 상면에서 1.8M의 위치에서 측정한 것으로 확산 기류의 잔풍속 0.25m/s일 때를 기준으로 함
· 발생 소음의 측정점은 취출구에서 45º의 각도에서 0.9M의 거리에서 Microphone으로 측정한 것임
·수직 취출 이외의 보두 천정 높이를 2.4M로 측정한 값
·45º 취출은 풍향 조정 Blade를 교차로 조정하여 45º 취출에 Set했을 때 기류의 확산임
■성능표
1. 풍량과 기구 길이와의 관계
Page 53에 표시된 성능표는 단위 1m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길이가 2m, 3m가 될 경우, 풍량은 아래 도표에 표시 된 바와 같이 됩니다. 그러나 도달거리와 정압손실은 기구길이에 따라 변화하지 않습니다.
Page 53에 표시된 성능표의 NC Level은 단위 길이 1m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길이가 변화할 경우 NC Level은 다음표와 같이 교정됩니다.
아래 표는 취출구에 이슬이 발생하지 않는 한계 온도를 표시하였습니다. 예로써 수직 취출의 경우 실내 온도가 29ºC 이고 습도가 60%일 경우에는 취출온도가 16.5ºC 이상이면 이슬은 맺히지 않습니다.
4. 면풍속과 풍량과의 관계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